언론 자유에 대한 당연한 인식 / Press Freedoms Underappreciated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cent declaration of martial law by President Yoon Suk Yeol in South Korea, which took place on December 3, 2023. The announcement came unexpectedly during a dinner gathering of reporters and administrative staff, leading to a rush to the briefing room, where they found themselves locked out.

At approximately 10:20 p.m., President Yoon's martial law declaration was broadcast, marking the first such decree in over four decades. The declaration included measures that placed the press and publishers under the control of the martial law command. Shortly after, scenes of South Korean troops deploying to the National Assembly circulated widely on social media.

Despite an eviction order issued to the press corps at 12:45 a.m. on December 4, many reporters chose to remain on site. The situation escalated as 190 lawmakers passed a resolution to nullify the martial law, which President Yoon ultimately accepted, rendering both the martial law declaration and the eviction order void.

The events highlighted concerns regarding press freedoms in South Korea, prompting reflections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martial law and its implications for journalism. The article draws parallels to the previous martial law imposed by Chun Doo-hwan in 1980, which led to significant restrictions on media and the persecution of journalists.

Historically, the 1980 Gwangju Uprising, which was met with military force, demonstrated the dangers of government control over the press. The artic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afeguarding press freedoms, which have been hard-won through decades of struggle and sacrifice.

The author concludes by expressing apprehension about the potential for future martial law and its impact on journalistic integrity and freedom of expression in South Korea.




이 사진은 12월 4일 군대의 강제 진입을 저지하기 위해 사용된 소화기에서 발생한 연기로 가득한 국회의 내부를 보여준다. (뉴스1)

12월 3일, 업무 후의 평범한 저녁은 소맥 몇 잔으로 넘쳐났다. 윤석열 대통령의 행정 직원들과의 비공식 저녁 모임에 참석한 누구도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21세기 최대의 위협이 그림자 속에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저녁 식사 중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아 대통령실에서 '충격적인 발표'가 있다는 소식이 기자들 사이에 빠르게 퍼졌다. 다른 기자들과 나는 급히 저녁 식사를 끝내고 윤 대통령이 연설을 하는 브리핑룸으로 달려갔으나, 우리는 문 밖에 갇혀버렸다.

오후 10시 20분,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언이 방송되었다. 기자들은 대통령에게 접근할 수 없었고, 기자실에서 그의 발언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현직 대통령이 반북적, 반국가 활동으로 반대파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발언하는 순간은 34세의 나에게 평생 잊지 못할 순간이었다.

이후 12월 3일 오후 11시에 전국적으로 시행된 그 계엄령은 40년 이상 만의 첫 사례였다. 계엄령은 언론과 출판사들이 즉각적으로 군 경찰의 통제 아래에 놓이도록 명시했다.

남한 군대가 국회에 배치되는 영상이 이어졌다. 헬리콥터, 장갑차, 소총을 든 병사들이 서서울의 입법 기관으로 진격하는 장면은 소셜 미디어와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퍼졌다.

미디어는 군대의 강제 진입을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전송했다. 내 많은 지인들이 빠르게 텔레그램에 가입했다. 반면 대통령실에서 취재하던 기자들은 놀라움과 혼란에 빠져 텔레비전에 고정되어 있었다. 우리는 시사 정보를 제한적으로 수집해 상황을 평가하고 가능한 여파를 예측하는 기사를 내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대통령실 기자단의 퇴거 명령은 12월 4일 12시 45분에 발효되었다. 그러나 아무도 기자들에게 떠나라고 묻거나 강요하지 않았고, 떠나려는 사람도 거의 없었다.

상황은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다. 바로 그 순간, 책상 편집자와 동료가 대통령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묻는 끊임없는 카카오톡 알림이 나를 현실로 되돌렸다.

오전 1시경, 300명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에서 190명의 의원들이 계엄령을 무효화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안도와 혼란 속에 몇몇 기자들은 "그렇게 쉽나?"라고 중얼거렸다.

3시간 후, 윤 대통령은 상황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고, 계엄령 선언과 퇴거 명령 모두 효력이 없게 되었다.

그날 밤과 이후 이어진 격동의 주는 어려운 진실을 드러냈다: 우리의 힘겹게 얻은 민주주의에서 언론의 자유는 당연시되어 왔다는 것이다.

오늘날, 계엄 본부의 명령 아래에 있다는 상황이 어떤 것일지 상상하기 어렵다. 내 글 중 어느 것이 정부에 의해 검열당할 수 있을까? 아니면 언젠가 윤 정부에 불리하다고 여겨지는 글을 썼다는 이유로 구속당할 수도 있을까? 이러한 질문이 계속 머릿속을 맴돈다. 현재 계엄의 트라우마는 새로운 세대에게 다가오고 있다.

40년 전,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언론의 자유를 상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에 걸쳐 규제가 만연했다.

1980년 5월, 군사 쿠데타 주도자 전두환에 의해 전국적으로 계엄령이 선포된 직후 기자들은 정부의 지침에 따르지 않거나 전 씨의 정치적 반대자에게 동조한 혐의로 직장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전두환은 정권을 장악하고 민주화 시위 참가자들을 군사력을 동원해 학살했다. 그는 자신의 정치적 적과 대중 매체를 무력화시킨 후 1981년 1월 계엄령을 해제했다. 두 달 후 대통령에 취임했지만, 그의 언론에 대한 강력한 억압은 여전히 남아있었다.

1980년대 해고된 기자들의 협회는 더 이상 경력을 지속할 수 없었던 기자의 수를 2,000명으로 집계했다.

직장을 유지한 기자들은 극심한 좌절감을 느꼈다. 일부는 언론사 통합 강요, 뉴스 출판물의 면허를 취소할 수 있는 정부의 권한 및 매일 부여받는 보도 지침으로 인해 복종하게 되었다.

1986년에 10개월 동안의 보도 지침의 연대기적 목록이 공개되어, 그동안 기자들이 내린 결정의 이면에 무엇이 작용했는지 막상 드러나 충격을 주었다.

그 공개는 큰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 당시 한겨레신문의 카피 에디터 김제언을 포함한 다섯 명이 국가안전법 위반, 외교 비밀 누설, 주권 모독 등의 이유로 체포되었다. 이들은 1995년에 결국 무죄판결을 받았다 — 한국이 1987년 민주주의로 전환한 지 8년 후의 일이다.

만약 오늘날 계엄령이 계속 유지되었다면, 이 나라의 사람들은 강력한 매체 조작가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을 것이며, 많은 사람들의 희생을 통해 쌓아올린 자유는 전무하게 되었을 것이다.

우리는 1980년 광주 항쟁의 진정한 모습이 오랫동안 강하게 감춰졌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 해 5월, 민주화 시위가 도시를 휩쓴 것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정부는 이 항쟁을 반북 세력에 의해 조장된 '폭동'으로 낙인찍었다.

이 기자의 수첩은 향후 또 다른 계엄령이 시행되면 증거가 될 수 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