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LCC 좌석 비율, 아시아 태평양 평균 초과 보고서 / Korean LCC Seat Share Surpasses Asia-Pacific Average, According to Report


Low-cost carriers (LCC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presence in Korea's aviation market, surpassing the average seating proportion of the Asia-Pacific region, according to a recent industry report.

The analysis by aviation market tracker Center for Aviation indicates that LCCs accounted for 45.7 percent of systemwide seats in Korea, well above the Asia-Pacific average of 32.1 percent as of the second week of January.

For international flights, LCCs' seat proportion from Korea reached 41.1 percent in 2024, a notable rise from 15.4 percent in 2015 and 36.5 percent in 2019.

In domestic aviation, LCCs represented 58.5 percent of seats in 2024, increasing from 54.3 percent in 2019.

Jeju Air, the largest LCC in Korea, held an 11.1 percent share of overall systemwide seats, placing it third behind the national flag carriers, Korean Air and Asiana Airlines.

Following the tragic crash of one of its B737-800 aircraft on December 29, which resulted in 179 fatalities, Jeju Air has reduced its flight capacity. Before the incident, the airline's seat share was slightly higher at 12.4 percent, according to the report.




2024년 5월 19일 파일 사진에서 저비용 항공사(LCC)의 비행기들이 인천국제공항에 보입니다.

수요일 발표된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항공 시장에서 저비용 항공사의 좌석 비율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평균을 크게 초과하며, 저가 항공사의 인기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항공 시장 추적 기관인 항공 센터의 분석에 따르면, 저비용 항공사는 1월 둘째 주 기준 한국의 시스템 전체 좌석의 45.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평균인 32.1%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2024년 한국의 국제선에서 저비용 항공사 좌석 비율은 41.1%로, 2015년 15.4%와 2019년 36.5%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선에서도 비슷한 성장이 이루어져, 저비용 항공사는 2024년에 58.5%의 좌석 비율을 차지하며, 2019년의 54.3%에서 증가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최대의 저비용 항공사인 제주항공은 전체 시스템 좌석의 11.1%를 차지하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두 개의 전통적인 대형 항공사에 이어 3위에 올랐습니다.

제주항공은 최근 12월 29일 발생한 B737-800 항공기의 사고 이후 비행기 운항 능력을 줄였습니다. 이 사고로 179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사고 이전 제주항공은 12.4%의 좌석 점유율을 기록하였다고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