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tors explore the "Connecting Bodies: Asian Women Artists"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s (MMCA) Seoul branch.
The year 2024 was a significant year for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visitors soared to an all-time high. The state-run museum operates four venues across Korea, including the main branch in Seoul, Deoksugung, Gwacheon, and Cheongju, and attracted over 220,000 overseas visitors last year, reflecting a 36 percent increase from pre-pandemic levels in 2019.
More than half of the international audience came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followed by visitors from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 This increase has allowed the MMCA to surpass the milestone of 1 million foreign visitors since the inauguration of its Seoul branch in 2013.
Art critic Yoon Jin-sup noted that the record attendance can be attributed to events such as Frieze Seoul and Seoul Art Week, which have become important gathering points for institutional representatives, collectors, and art enthusiasts worldwide. Many of these visitors are now more inclined to explore Seoul's art scene, including the MMCA, during their stay.
Curator and writer Kim Sung Woo emphasized the synergy created by Frieze Seoul and public institutions, which offer a concentrated cultural experience for visitors. He mentioned that the fair's financial impact and extensive promotional efforts have increased global interest in Korean contemporary art, fueling a wealth of articles and publications.
However, Kim cautioned that the surge in international visitors should not be attributed solely to Frieze Seoul. He pointed out that most of these visitors are not art professionals but rather general tourists, drawn by Korea's diverse cultural exports, such as films, dramas, and music, which lead them to museums like the MMCA.
Looking ahead, the MMCA aims to leverage its international network to strengthen its position within the global art scene. Kim highlighted the need for the institution to go beyond merely awarding artists and instead focus on promoting their work within international cultural dialogues.
Another priority is to establish a cohesive lineage of Korean contemporary art to enhance understanding of artists' connections within the domestic and broader cultural context. This would involve conducting targeted research and refining the museum's collection strategy to trace Korea's artistic evolution.
Ultimately, the MMCA aims to evolve from hosting isolated exhibitions to becoming a pivotal contributor to the global narrative of Korean contemporary art, fostering a nuanced understanding of how it intersects with both local traditions and global trends.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수원관)에서 열린 "몸의 연결: 아시아 여성 작가들" 전시회를 관람하는 관람객들.
2024년, 국가 운영 미술관 국제 관객 기록 경신
2024년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이 국제 관객 수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해로 평가된다.
국가 소속 미술관인 이 기관은 서울 본관, 덕수궁, 경기도 과천, 충청북도 청주 등 네 곳의 전시 공간을 운영하며, 지난해 해외에서 온 관람객 수가 22만 명을 넘어서며 2019년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36% 증가했다.
국제 관객의 절반 이상은 미국과 유럽 출신이며, 그 뒤를 이어 중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여행객들이 있다.
이에 따라, 이 미술관은 2013년 서울 본관 개관 이래 외국인 관객 수 100만 명을 공식적으로 초과 달성하게 되었다.
미술 평론가 윤진섭에 따르면, 미술관의 기록적 국제 관객 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프리즈 서울 및 서울 아트 위크이다.
2022년 9월에 시작된 이 아트 페어는 전 세계의 기관 대표, 수집가 및 예술 애호가들이 모이는 중요한 집합 지점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서울로 여행할 충분한 동기가 없었던 이들이기도 하다. 이들 방문객은 주로 프리즈 주변에 머물지 않고 중앙 서울의 삼청동 등 다른 지역의 미술관과 상업 갤러리를 탐방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2018년 광주 비엔날레의 공동 총감독인 김성우는 프리즈 서울의 상업적 영향과 서울 아트 위크 기간 동안 공공 기관의 조정된 프로그램 간의 시너지를 강조했다. 그는 아트 페어의 재정적 힘과 홍보 범위가 박물관 및 갤러리 전시와 결합되어 예술 전문가들에게 매우 집중적인 문화 경험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김은 “이들은 이후 한국의 현재 현대미술 씬을 조명하는 고품질의 글, 기사 및 출판물을 생산한다”고 말했다. “이것은 다시 다양한 언어로 된 풍부한 2차 자료를 생성하여 한국 미술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더욱 증대시킨다.”
하지만 김은 MMCA의 국제 관객 증가를 단순히 프리즈 서울이나 9월 아트 붐에만 귀속시켜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대부분의 해외 방문객이 예술 전문가가 아니라 일반 대중”이라며 “이러한 유입의 더 넓은 이유는 예술계 너머에 있으며, 한국의 폭넓은 문화 수출품 — 영화, 드라마 및 음악이 엄청난 세계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접점을 통해 관광객들이 이곳으로 유입된다”고 말했다.
글로벌 관심을 끌며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한 후, MMCA는 앞으로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핵심 목표 중 하나는 국제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한국 현대 미술과 글로벌 미술 씬 간의 다리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다. 김은 이 분야에서 기관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한국 작가 상은 단순히 상을 수여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고 그는 강조했다. “국립 기관의 기능은 이러한 선별된 창작자들이 국제 문화 담론 내에서 의미 있게 홍보되고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계획하는 것이다.”
그는 프리즈 서울과 같은 행사 동안 해외 예술 전문가들과의 구체적인 교류를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미술관은 한국 작가들에 대한 매력적인 서사를 만들어내고, 국제 조직과 협력하여 이들의 작품을 더 맥락적이고 영향력 있게 해외에서 선보일 수 있다.
또 다른 과제로는 한국 현대 미술의 응집력 있는 계보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각 작가가 국내 씬에서의 위치와 더 넓은 역사적, 문화적 서사와의 연결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단색화”와 “민중미술”과 같은 현대 운동은 더 잘 문서화되어 있지만, 현재 창작자들의 계보는 여전히 개발되지 않았다고 김은 언급했다.
이러한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집중적인 학술 연구를 수행하고, 한국의 예술적 발전을 더 잘 추적하기 위해 미술관의 수집 전략을 재조정해야 한다.
“기관이 저명한 작가의 경력에서 상징적인 작품을 획득한다면, 그들의 초기 및 후속 작품도 함께 수집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맥락화된 계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MMCA의 역할은 고립된 단발적 전시로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고 김은 말했다. 프로그램 및 수집 노력을 재조정하여, 미술관은 한국 현대 미술의 세계 무대에서 서사를 형성하는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고, 대중에게 한국의 예술이 지역 전통과 글로벌 트렌드와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대한 보다 미묘한 이해를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