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ard Lutnick, President Donald Trump’s nominee for U.S. Secretary of Commerce, raised concerns regarding the U.S. government's previously promised subsidies to South Korean semiconductor manufacturers during his confirmation hearing before the Senate Committee on Commerce, Science, and Transportation. His comments implied a potential review of these subsidies, reflecting the Trump administration's critical stance on the program.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South Korea's leading chipmakers, are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to determine if the subsidies, initially promised by the Biden administration for their U.S. investments, may be delayed or even canceled. Lutnick's comments were part of a broader agenda focused on enhancing market competitiveness for domestically manufactured goods by imposing stricter conditions on imports, including increased tariffs.
Previously, the Biden administration introduced the CHIPS and Science Act to entice global semiconductor companies to establish manufacturing facilities in the U.S. The U.S. commerce department had announced substantial support for Samsung Electronics, proposing over $4.7 billion for its chipmaking investment in Texas, and up to $458 million for SK hynix's Indiana investment.
During the hearing, when asked if he would continue with the previous government’s subsidy initiatives, Lutnick stated that he could not guarantee continuation until he thoroughly analyzed the existing program. He emphasized the need to ensure that any economic benefits result in enhanced domestic manufacturing.
Lutnick remarked, "We want to look at the supply chain and bring that back to America," highlighting a desire to create jobs on American soil and return to a position of innovation within the semiconductor space. He noted that other countries, particularly allies, have benefitted from the U.S.'s open trade policies, suggesting a shift towards more protective trade measures.
In addition to subsidy concerns, Lutnick's statements, alongside Trump's proposed 25 percent tariffs on imports from Mexico and Canada, have caused apprehension among Korean companies with manufacturing operations abroad. Companies like Samsung and LG Electronics are contemplating relocating production to the U.S. in response to potential tariffs. For instance, Samsung is considering shifting its laundry dryer production from Mexico to South Carolina, while LG is evaluating moving its refrigerator production from Mexico to Tennessee.
Relocating manufacturing operations presents a significant challenge for Korean automakers, owing to the substantial investments required. Some suppliers, such as POSCO International, have indicated they will maintain operations in Mexico unless significant shifts occur within the industry.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무부 장관 후보자인 하워드 루트닉이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상원 상무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하며 한국 반도체 제조업체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보조금 약속에 대한 불확실성을 언급하였다.
루트닉은 트럼프 행정부의 회의적 견해에 맞춰 보조금 프로그램 검토를 요구하며,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 투자에 대한 보조금이 지연되거나 최악의 경우 취소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청문회에서 미국 제조품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보다 불리한 수입 조건 부여, 즉 더 높은 관세 부과를 포함한 그의 더 큰 계획의 일환으로 관련 발언을 하였다.
이전 바이든 행정부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보조금을 제공하는 CHIPS 및 과학법을 도입했다.
트럼프 취임 전, 미국 상무부는 삼성전자에 텍사스 반도체 투자 지원을 위한 47억 달러 이상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으며, SK하이닉스에는 인디애나에 대한 투자를 위해 최대 4억 5800만 달러를 제공할 예정이었다.
루트닉은 이전 정부의 보조금 프로그램을 계속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전까지는 보장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청문회에서 “우리는 이 프로그램을 연구해야 하며, 미국에서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공급망을 살펴보고 이를 미국으로 되돌려 가져오고 싶다. 그래서 위대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혁신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TSMC는 지난해 트럼프가 여러 차례 “미국의 반도체 산업을 도둑질했다”고 비난한 대만의 기술 대기업이다.
루트닉은 CHIPS 법안이 반도체 제조를 미국으로 되돌리기 위한 “우수한 초기 투자”라고 언급했지만, CHIPS 프로그램을 계속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우리는 자금을 적절하게 배분하고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루트닉은 한국을 포함한 미국과 거래하는 국가들에게 날카로운 메시지를 전달하며, 많은 동맹국들이 미국의 선의에 대한 이점을 취해왔다고 언급했다.
그는 “우리의 위대한 동맹국들이 우리의 선의로부터 이득을 취해왔으며, 일본의 철강 및 한국의 가전제품과 같은 것들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우리를 이용하고 있다”면서 “그들이 우리와 파트너십을 맺고 그 생산을 본국으로 되돌려야 할 때가 되었다”고 말했다.
보조금 문제 외에도, 루트닉의 발언과 트럼프의 수입품에 대한 더 높은 관세와 관련된 위협은 해외 제조 기반을 가진 한국 기업들을 긴장하게 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가 다음 달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한 직후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에 따라 삼성은 세탁기 건조기를 멕시코의 케레타로 대신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생산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삼성 전자기계는 이미 멕시코에 자동차 카메라 모듈 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연기한 상태이다.
LG전자는 냉장고 생산 라인을 멕시코 누에보 레온에서 미국 테네시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를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 LG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김창태는 관세 인상이 너무 급격히 이루어진다면 생산 기지 이전과 용량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가전 제조업체들에 비해 투자 규모가 크기 때문에 공장 이전에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배터리 및 기타 부품 제조업체들이 당분간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힘든 상태이다.
Kia의 전기차에 필요한 구동 모터 코어를 공급하는 포스코 인터내셔널은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가 가까운 공장을 다른 국가로 이전하지 않는 한 멕시코 공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