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로 인한 2024년 패션 기업 매출 감소 / Sales Decline for Fashion Industry in 2024 Attributable to Climate Change


Winter coats are displayed at an Eider shop in the shopping district of Myeongdong, Seoul, Monday.

The country’s largest fashion product makers experienced a decline in sales last year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ttributed to shifts in weather patterns caused by climate change, which resulted in reduced spending on expensive winter items. Rising retail market prices also discouraged purchases, negatively impacting sales.

In contrast, fast-fashion brands reported strong sales as consumers became more price-conscious amid a sluggish economy. Four major fashion companies in the country reported drops in sales and operating profits for 2024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Samsung C&T’s fashion department, which had the highest sales last year with brands like Beanpole and Menswear, saw a 3 percent decrease in sales from 2.05 trillion won ($1.42 billion) in 2023. Operating profit fell from 194 billion won in 2023 to 170 billion won, a decline of 12 percent.

F&F, which recorded the second-highest sales and highest operating profit among the four companies in 2024 with brands like MLB and Discovery, reported sales of 1.89 trillion won last year, down 4 percent from 1.98 trillion won in 2023. Operating profit remained at 450 billion won, down 18 percent from 552 billion won in 2023.

During the same period, Handsome, a fashion arm of Hyundai Department Store, experienced a 3 percent drop in sales to 1.48 trillion won, while operating profit decreased by 36 percent to 63.4 billion won. Shinsegae International, which features luxury brands like Giorgio Armani and Brunello Cucinelli, saw sales dip 3 percent to 1.3 trillion won, with operating profit plunging 45 percent to 28.6 billion won.

Market experts indicated that companies reliant on temperature changes and seasonal styles for revenue faced lackluster sales during the fourth quarter of last year. The winter season, typically a lucrative period for fashion firms, started later than usual, with subzero temperatures only arriving in December. This delay in winter conditions slowed consumer demand for winter apparel, impacting sales in 2024.

Additionally, slowing domestic consumption due to rising retail market prices in 2024 contributed to the reduced sales figures. Fashion is often viewed as a non-essential retail category, particularly during economic downturns.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the country’s retail sales index in 2024 fell by 2.2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with the clothing and shoe category experiencing a 3.7 percent decline.

In contrast, fast-fashion brands saw an increase in sales during the same period. FRL Korea, which operates Uniqlo stores, reported a 15 percent increase in sales for 2024, reaching 1.06 trillion won, while operating profits rose by 5.4 percent to over 148 billion won.

Korean firm Topten10 is projected to achieve a double-digit percentage sales increase to 1 trillion won in 2024, up from 900 billion won in 2023, which was a 15.4 percent rise from the previous year’s 780 billion won.

SPAO, a subsidiary of a Korean conglomerate, also anticipates its sales for 2024 will reach 600 billion won, an increase from 480 billion won in 2023 and 400 billion won in 2022.




서울 명동 쇼핑 지구에 있는 이자드 매장에서 겨울 코트가 전시되고 있다.

저렴한 패스트 패션 브랜드가 판매 성장

지난해 한국의 주요 패션 제조사들은 기후 변화로 인한 날씨 변화가 비싼 겨울 아이템 구매를 줄이면서 매출이 감소했다. 또한 지난해 소매 시장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가 줄어 회사의 판매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은 불황 속에서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판매 호조를 보였다.

국내 4대 패션 회사들은 2024년 매출과 운영 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삼성물산의 패션 부문은 지난해 2조 5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나 2023년 대비 3% 감소한 2조 4500억 원에 그쳤고, 운영 이익도 1940억 원에서 1700억 원으로 12% 줄어들었다.

MLB 및 디스커버리 브랜드를 가진 F&F는 지난해 1조 89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2023년의 1조 9800억 원에서 4% 감소한 수치이다. 운영 이익은 지난해 4500억 원으로 2023년의 5520억 원에서 18%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 패션 부문인 핸섬은 매출이 1조 4800억 원으로 3% 감소하였고, 운영 이익은 63억 원으로 36% 감소했다. 명품 브랜드를 보유한 신세계 인터내셔날은 매출이 1조 3000억 원으로 3% 하락하였고, 운영 이익은 286억 원으로 45% 감소했다.

2023년 11월, 서울 명동 지역의 SPAO 매장에는 방문객들이 많다.

시장 전문가들은 온도 변화와 계절 스타일에 의존하는 회사들이 지난해 4분기동안 저조한 판매를 경험했다고 분석했다. 겨울 시즌이 시작됨에 따라 연말 4개월은 패션 기업이 비싼 겨울 코트와 열 차단 아이템을 판매하는 가장 수익성이 높은 시기로 여겨진다.

그러나 지난해 겨울 시즌은 평소보다 늦게 시작되었고, 12월에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소비자들의 겨울 구매 수요가 지연되어 2024년 판매에 영향을 미쳤다.

2024년 소매 시장 가격 상승으로 인해 국내 소비가 둔화되면서 회사들의 매출 감소에 기여했다. 패션은 소매 카테고리 중 가장 비필수적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시장이 침체될 때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줄이는 품목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의 소매 판매 지수는 전년 대비 2.2% 감소했으며, 의류 및 신발 카테고리는 전년 대비 3.7%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은 판매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의 유니클로 매장을 운영하는 FRL 코리아는 2024년 매출이 전년 대비 15% 증가한 1조 600억 원에 달하며 운영 이익도 5.4% 증가한 1480억 원을 기록했다.

한국의 Topten10은 2024년 매출이 지난해 9000억 원에서 1조 원으로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회사의 2023년 매출은 7800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15.4% 증가했다.

한국 대기업 이랜드 그룹의 자회사인 SPAO는 2024년 매출이 6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2023년 4800억 원 및 2022년 4000억 원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