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ing an event at the Embassy of Turkmenistan in Seoul, the Turkmen Ambassador to Korea, Begench Durdyyev, emphasized the country's foreign policy goals for 2025,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the International Year of Peace and Trust by the United Nations.
The initiative aims to foster peaceful and trustworthy relations among nations. Durdyyev noted the significance of this year, coinciding with the 30th anniversary of Turkmenistan's permanent neutrality.
"We come together on the occasion of introducing Turkmenistan's foreign policy plans for this year, an especially notable period as 2025 has been proclaimed as the International Year of Peace and Trust," he stated.
He highlighted Turkmenistan's commitment to a policy of peaceful neutrality, which includes noninterference in the internal affairs of other states, abstaining from military alliances, and advocating for conflict resolution through diplomacy.
"Over the three decades since gaining its independence, Turkmenistan has adhered to a peaceful neutral policy," Durdyyev remarked, adding that the country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global peace by prioritizing diplomacy over conflict.
One of the notable diplomatic achievements mentioned was the adoption of the United Nations Resolution titled "2025 International Year of Peace and Trust" on March 21, 2024, co-sponsored by 86 U.N. member states. This resolution underscores the U.N. Charter’s commitment to peaceful dispute resolution.
Durdyyev also referenced several significant anniversaries related to this initiative, including the 30th anniversary of Turkmenistan's permanent neutrality, the 80th anniversary of the U.N., and the 33rd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urkmenistan.
In discussing bilateral relations, Durdyyev noted the historical signing of the "Protocol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urkmenistan and the Republic of Korea" on February 7, 1992,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formal diplomatic ti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urkmenistan and the Republic of Korea have worked hand in hand to advance our common goals, deepening ti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he stated.
The ambassador outlined plans for expanding cooperation this year through a comprehensive program aimed at enhancing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hich includes political consultations and a state visit.
"At least two large-scale projects will start to be implemented by leading Korean companies in Turkmenistan this year, and we will work to increase this number," he added.
Durdyyev also announced plans to launch direct passenger flights between Ashgabat and Seoul in the coming months, encour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aviation and tourism sectors to facilitate tourism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에서 열린 평화 및 신뢰의 국제 연도 행사에서 투르크메니스탄 대사 베겐치 듀르디예프가 연설하였다.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듀르디예프 대사는 2025년이 평화와 신뢰의 국제 연도로 선포된 가운데, 투르크메니스탄의 외교 정책 목표를 강조하였다.
2025년은 유엔이 평화 및 신뢰의 국제 연도로 지정한 해로, 이 지정은 국가 간 평화롭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듀르디예프 대사는 "2025년이 평화와 신뢰의 국제 연도로 선포된 특별한 시기에 투르크메니스탄의 외교 정책 계획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모였으며, 우리 나라의 영구 중립성 30주년을 자랑스럽게 기념하게 된다"고 말했다.
대사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오랜 평화 중립 정책이 타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으며, 군사 동맹을 피하고 외교적 방법을 통한 분쟁 해결을 지지하는 원칙에 기반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는 "독립 이후 30년 동안 투르크메니스탄은 평화 중립 정책을 준수해왔다"며 "갈등보다는 외교를 지지함으로써 우리는 세계 평화 증진에 막대한 기여를 해왔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하여 듀르디예프 대사는 '2025 평화와 신뢰의 국제 연도'라는 유엔 결의가 2024년 3월 21일에 채택된 것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 결의는 86개 유엔 회원국이 공동으로 제안하였으며, 유엔 헌장의 평화로운 분쟁 해결에 대한 근본적인 약속을 강조한다.
그는 "이 결의는 '대화가 평화의 보장'이라는 투르크멘 민족의 지도자가 발표한 새로운 국제 관계 철학의 실질적 구현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듀르디예프 대사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영구 중립성 30주년, 유엔 80주년,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 간의 외교 관계 33주년 등 이 이니셔티브와 일치하는 몇 가지 중요한 기념일을 언급하였다.
그는 또한 두 나라의 외교 및 경제 관계의 심화에 대해 강조하며, 외교 관계 33주년을 기념하였다.
그는 "투르크메니스탄과 한국 공화국 외교 관계 수립에 관한 역사적인 정부 간 문서인 '외교 관계 수립을 위한 프로토콜'이 1992년 2월 7일에 서명되었으며, 이후 양국 수도에 대사관이 개설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30년 동안 투르크메니스탄과 한국 공화국은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공동의 목표를 위해 손을 맞잡고 협력해왔다"고 덧붙였다.
대사는 올해 투르크메니스탄의 정치 및 경제적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치적 상담 등 포괄적인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올해 최소 두 개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한국 주요 기업에 의해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시행될 예정이며, 우리는 이 숫자를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몇 달 내에 아시가바트와 서울 간의 직항 여객 편이 시작될 예정이므로 항공 및 관광 분야 대표들이 양국 간의 관광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해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