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초의 소중한 시간: 항공사고를 위한 필수 안전 수칙 / Essential Safety Guidelines for Airplane Emergency Situations


Authorities are investigating the wreckage of an aircraft following a fire involving Air Busan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n Busan. This incident has raised public concerns regarding aviation safety.

Experts highlight that the critical time frame for evacuation during an aircraft emergency is just 90 seconds, as all passenger planes are engineered for complete evacuation within this period. To improve survival rates, specialists recommend adherence to three essential safety practices.

First, passengers are advised to carry power banks directly rather than storing them in overhead bins. These devices can pose fire and explosion risks, particularly when pressure builds in the overhead compartments, making early detection of potential hazards difficult.

According to the aviation hazardous materials transportation standards se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lithium-metal and lithium-ion batteries are regarded as dangerous goods. While lithium-metal batteries used in cameras and medical devices have a lower explosion risk, they must contain less than 2 grams of lithium to be allowed in checked or carry-on baggage. Lithium-ion batteries, found in laptops and smartphones, present a slightly higher risk, with those under 100 watt-hours permitted for both carry-on and checked luggage, while those between 100Wh and 160Wh require airline approval for carry-on only. Power banks, which utilize lithium-ion batteries, cannot be checked in under any circumstances.

Experts caution that lithium-ion batteries can ignite if compressed or damaged. The Air Busan fire is suspected to have been initiated by a power bank stored in an overhead bin. A professor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emphasized that power banks should always be kept within reach in the cabin, as fires in overhead compartments are more challenging to detect promptly. Another professor advised that having power banks accessible allows passengers to notice signs of overheating early, while also minimizing the risk of battery damage.

Second, passengers must adhere to crew instructions and leave personal belongings behind during evacuation. Reports indicate that a passenger opened an emergency exit prior to receiving crew instructions during the Air Busan fire, a move experts consider perilous. Flight attendants are trained to evaluate external conditions and provide guidance, and their directions should always be followed to mitigate risks associated with premature exits.

Passengers are also instructed to evacuate without retrieving personal items. With a mere 90 seconds available for escape, any delay, even for luggage, could jeopardize lives. An aviation professor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quick decisions during an evacuation, emphasizing that obstructing the aisle to retrieve items from overhead bins is unacceptable.

In addition, all items within the passenger area must be abandoned, including bags placed at one’s feet. Experts warn that evacuation slides are steep, and holding onto bags can lead to injuries. Sharp objects could potentially damage the evacuation slide, and loose baggage may obstruct the escape route, causing injuries or delays. Passengers are also advised to remove high heels before exiting to protect the slide's integrity.

This report has been generated and edited by an AI system.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를 조사하기 위한 합동 조사가 시작되면서 항공 안전에 대한 대중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항공 사고에서 대피를 위한 “골든 타임”이 단 90초에 불과하다고 강조하며, 모든 여객기는 이 시간 내에 완전 대피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전했다.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는 세 가지 주요 안전 규칙을 준수할 것을 강조한다.

파워 뱅크를 휴대하고 수하물 칸에 보관하지 말 것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파워 뱅크와 같은 장치는 overhead bin(수하물 칸)에 보관하지 말고 직접 휴대해야 한다. overhead compartment(상부 수납칸)에 짐과 함께 포장될 경우 압력이 증가해 화재 위험이 높아지고, 조기 발견이 어려워질 수 있다.

국토교통부의 항공유해물질 운송 기준에 따르면 리튬 금속 및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위험물로 분류된다. 카메라와 의료 기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튬 금속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낮지만, 리튬 함량이 2그램 이하일 경우에만 위탁 수하물이나 기내 반입이 허용된다. 노트북과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약간 더 높으며, 100와트시(Wh) 이하의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나 위탁 수하물이 가능하지만, 100Wh에서 160Wh 사이의 배터리는 항공사 승인이 필요하며 기내 반입만 가능하다.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파워 뱅크는 더 엄격한 규칙을 적용받아 어떠한 경우에도 위탁 수하물로 보낼 수 없다.

전문가들은 리튬 이온 배터리가 압축되거나 손상될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최근 에어부산 화재는 overhead bin(상부 수납칸)에 보관된 파워 뱅크에서 시작된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우석대학교 소방재난학과의 공하성 교수는 “파워 뱅크는 항상 개인 소지품으로 기내에 휴대해야 한다”며, “overhead bin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빠르게 감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경일대학교 소방재난학과의 이영주 교수도 “파워 뱅크를 가까이에 두면 승객들이 과열되는 상황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다. 배터리가 압축되거나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승무원의 지시에 따르고 대피 시 짐을 두고 떠날 것

비상 대피 상황에서는 승객들이 비상 출구 사용에 관한 승무원의 지시를 엄격히 따라야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에어부산 화재 당시 한 승객이 승무원으로부터 지시를 받기 전에 비상 출구를 열었다고 한다. 이는 매우 위험한 행동으로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승무원은 외부 상황을 평가하고 조종사와 협조하도록 훈련받았기 때문에, 그들의 지시는 항상 따라야 한다. 한서대학교 항공학 교수인 김규왕은 “승무원들은 외부 위험을 확인하고 기장과 소통한 후 승객들에게 출구 위치와 주의사항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대피 전에 엔진을 꺼야 한다. 승객이 비상 출구를 미리 열 경우 엔진으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승객들은 개인 소지품 없이 대피해야 한다. 90초라는 짧은 시간 내에 탈출하기 때문에, 짐을 찾으러 가는 것만으로도 여러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다. 신라대학교 항공학 교수인 최인찬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행동이 성공적인 대피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overhead bin에서 물건을 찾으며 통로를 막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overhead bin(상부 수납칸)의 물건뿐만 아니라, 발치에 놓인 가방도 버리고 대피해야 한다. 최 교수는 "대피 슬라이드는 경사가 가파르다. 가방을 들고 내려가면 부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지퍼와 같은 날카로운 물체가 고무 슬라이드를 찢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교수는 또한 "느슨한 짐은 다른 승객을 방해하거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대피 슬라이드를 손상시킬 수 있는 하이힐 또한 대피 전에 반드시 벗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