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ors are examining a burned-out Air Busan passenger jet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n Busan following a fire that broke out on January 28, just before its scheduled flight. The cause of the fire remains unconfirmed, raising concerns about safety management among local low-cost carriers (LCCs).
This incident follows a deadly crash involving a Jeju Air plane in December that resulted in the loss of 179 lives. The recurrence of accidents among major LCCs has intensified scrutiny over their safety protocols.
Air Busan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merging with Jin Air and Air Seoul, with plans to launch a new unified LCC under the supervision of Korean Air. This merger is a response to Korean Air's acquisition of Asiana Airlines and aims to improve safety standards among the three carriers, which are subsidiaries of the two full-service airlines.
Korean Air is expected to finalize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entity within two years. However, the ongoing incidents have led to calls for an expedited launch to address growing passenger concerns regarding LCC safety.
Industry officials assert that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LCC will help alleviate customer unease regarding safety, as it will implement a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overseen by Korean Air.
In December, Korean Air began sharing its advanced flight control system with Asiana Airlines to enhance safety management. Other industry experts have noted that LCCs need to invest more in aircraft maintenance and safety infrastructure, which is challenging due to their lower profitability compared to larger carriers.
Local stakeholders in Air Busan, including Busan Metropolitan City and various firms, are opposing the merger with Jin Air, as they collectively hold about 16 percent of Air Busan shares, unlike Air Seoul, which is wholly owned by Asiana Airlines.
부산시 김해국제공항에서 1월 31일, 화재가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조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 화재는 1월 28일 비행을 앞두고 발생했으며, 그 원인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최근 에어부산 여객기에서 발생한 화재는 저비용항공사(LCC)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의구심을 높이며, 한국항공이 감독하는 융합 저비용항공사 출범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화재는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있는 에어버스 A321 항공기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12월에 발생한 제주항공의 사고로 179명이 사망한 지 약 한 달 만이다.
최근 화재의 정확한 원인 조사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주요 저비용항공사들의 연속적인 사고는 안전에 대한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에어부산은 진에어와 에어서울과의 통합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이는 한국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따른 조치이다. 세 저비용항공사는 두 개의 풀서비스 항공사의 자회사이다.
한국항공은 두 해 내에 단일 법인의 출범을 완료할 예정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저비용항공사 관련 사고는 진에어의 신속한 출범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항공이 감독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통합 저비용항공사가 출범하면 고객들의 불안감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승객의 불신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어 이 감정을 줄이는 것이 최우선이며, 현재로서는 가능한 한 빨리 새로운 저비용항공사를 출범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한국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의 협업으로 최첨단 비행 제어 시스템을 공유하며, 안전 관리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첫 번째 우선 사항으로 삼았다.
다른 업계 관계자들은 저비용항공사들이 항공기 유지보수 및 안전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하지만, 한국항공 및 기타 해외 풀서비스 항공사와 비교해 수익성이 취약해 어려움이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에어부산이 진에어와 합병되어 동일한 안전 시스템을 공유하게 되면 승객들의 두려움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와 에어부산에 지분을 가지고 있는 지역 기업들은 아시아나항공이 완전히 지배하고 있는 에어서울과는 달리 에어부산의 지분 약 16%를 보유하고 있어 진에어와의 합병에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