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otice has been placed in front of the Jeju Air check-in counter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in Seoul, urging passengers to keep their batteries in sight while aboard aircraft. This change comes as airlines implement stricter safety regulations following a recent in-flight fire incident involving an Air Busan passenger jet, which has heightened safety concerns across the nation.
As of Thursday, Jeju Air passengers must agree to a new rule that discourages placing lithium-ion batteries in overhead bins before checking in via mobile devices or kiosks. The airline will also announce this updated policy in four languages—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at boarding gates.
The decision to enhance safety measures is a response to a fire that occurred last month on an Air Busan flight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where a battery in a passenger’s carry-on luggage is believed to have caused the blaze. While there were no reported casualties, the incident has amplified public apprehension regarding aircraft safety.
Korean Air has also opted to strengthen its safety protocols by advising passengers against placing batteries in overhead bins. The carrier will make two pre-flight announcements reminding travelers to keep all battery-operated devices either on their person or in seat pockets.
An industry official noted, “Airlines are introducing such measures, as they can promptly take action in case of battery fires,” but acknowledged that the lack of a legal basis means these measures cannot be enforced.
Asiana Airlines is taking similar steps by equipping all its aircraft with firefighting devices. Other carriers, including Air Seoul and T’way Air, are enhancing their safety announcements to encourage passengers to carry their batteries with them.
Air Busan is set to introduce a measure that will check for batteries in passengers' carry-on luggage at the boarding gate starting Friday.
Despite these initiative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safety measures is uncertain, as current safety regulations cannot be legally enforced.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classifies lithium-ion batteries as dangerous goods, but does not impose transport restrictions for air travel.
In response to these concerns, Korea’s land authority is engaging with industry stakeholders to explore regulations regarding in-flight battery usag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s anticipated to release detailed measures by April.
서울 김포국제공항의 제주항공 체크인 카운터 앞에 설치된 공지사항은 비행기 탑승 중 배터리를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최근 항공사들이 항공기 내 안전 규정을 강화하고 있는 배경에는 에어부산 여객기의 최근 기내 화재 사건이 있다. 이 사건은 전국적으로 안전에 대한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목요일부터 제주항공의 승객들은 체크인 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수하물 보관함에 두지 말라는 규정에 동의해야 한다.
새로운 안전 규정에 따르면, 승객들은 기내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것을 권장받는다. 제주항공은 탑승 게이트에서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로 업데이트된 규정을 안내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에어부산 항공기가 이륙 전 화재를 일으킨 후 안전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취해졌다.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승객의 기내 반입 수하물에서 배터리가 화재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고로 인해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항공기 안전에 대한 대중의 우려가 커졌다.
대한항공은 승객들이 배터리를 수하물 보관함에 두지 않도록 유도하는 안전 조치를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이 항공사는 비행 전 승객들에게 모든 배터리 작동 장치를 본인 소지품이나 좌석 주머니에 두도록 요청하는 두 차례의 안내를 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사들이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이러한 조치를 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법적 근거가 부족해 이를 강제할 수는 없다.”
아시아나항공도 모든 항공기에 소방 장비를 갖추기로 했다. 에어서울과 티웨이항공도 승객들이 배터리를 본인과 함께 지니도록 요청하는 안전 안내를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에어부산은 금요일부터 탑승 게이트에서 승객들이 기내 반입 수하물 속에 배터리가 있는지 점검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이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로, 안전 규정이 법적으로 시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에 따르면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위험물로 분류되지만 항공 운송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이에 따라 한국의 육상 당국은 항공업계 관계자들과 협력해 기내 배터리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며, 국토교통부는 4월까지 상세한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