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rtrait of the late actor Kim Sae-ron is carried to a hearse during a funeral procession at Asan Medical Center in Seoul’s Songpa District on Wednesday.
The death of Kim Sae-ron at the age of 25 has reignited discussions about the ongoing issue of malicious online comments and irresponsible media coverage directed at public figures in South Korea.
Experts emphasize the urgent need for societal reflection and stronger protective measures as the country faces a series of celebrity deaths linked to online harassment.
Following her drunk driving incident in May 2022, Kim was subjected to a barrage of hateful comments online. Despite withdrawing from public life, she continued to face criticism with each social media post, with commenters scrutinizing her part-time job, hobbies, and personal celebrations.
The media's role has also been scrutinized, as many outlets amplified negative sentiments by quoting hateful comments and reporting unverified claims from online sources.
Sensational headlines aimed at attracting clicks have created a vicious cycle, leading to the viral spread of inflammatory content and prompting further malicious comments.
"Some online trolls feel validated when their comments get media attention, which only encourages them to continue," stated a professor of social and cultural studies.
A civic group condemned the media's involvement in Kim's case, criticizing outlets for fueling public animosity while later blaming YouTubers and anonymous commenters. They called for an end to this cycle of media-driven character assassination.
Kim's death is part of a troubling trend; in 2019, K-pop stars Sulli and Goo Ha-ra both died by suicide after facing relentless online harassment. Sulli was particularly targeted for her candid social media posts, while Goo Ha-ra struggled with invasive media coverage.
Following their deaths, lawmakers proposed the "Sulli Act" to introduce real-name verification for online commenters, but the bill was ultimately rejected. A similar proposal aimed at curbing malicious comments was also shelved.
The recent death of actor Lee Sun-kyun, who was under investigation for alleged drug use, further underscored the media's role in public scrutiny. Major broadcasters faced criticism for airing private conversations unrelated to the investigation.
Experts argue that societal attitudes must change to break the cycle of celebrity harassment. They contend that the media's pursuit of views and clicks perpetuates a culture where celebrities are publicly humiliated for their mistakes.
Critics have noted that Kim Sae-ron's treatment was particularly harsh due to her gender, with media coverage described as predatory compared to that of male actors who faced similar offenses.
While major domestic portals disabled comment sections on entertainment articles in 2020, online harassment has shifted to social media platforms, where malicious comments persist.
Experts stress the need for mental health support for celebrities, highlighting that Kim was exposed to complex roles from a young age without adequate support during her transition into adulthood.
They advocate for new measures to protect celebrities from malicious comments and damaging media coverage to prevent similar tragedies in the future.
고(故) 배우 김새론의 초상화가 수요일 서울 송파구 아산의료원에서 열린 장례식 중 영구차로 옮겨지고 있다.
25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김새론의 죽음은 공인에 대한 악성 온라인 댓글과 무책임한 언론 보도의 지속적인 문제를 다시 한 번 부각시켰다.
한국은 이러한 괴롭힘과 관련된 연예인 사망 사건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사회적 반성과 더 강력한 보호 조치의 긴급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22년 5월 음주 운전 사건 이후 김은 온라인에서 증오 가득한 댓글에 시달렸으며, 공적인 삶에서 물러난 후에도 소셜 미디어에 게시할 때마다 비난이 쏟아졌다.
댓글 작성자들은 그녀의 아르바이트 카페 일, 취미, 생일 모임조차 조롱하며 그녀의 자기 성찰 진정성을 의문시했다.
언론 또한 이러한 부정적인 보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많은 매체가 유튜버와 익명 온라인 사용자들의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나 증오 가득한 댓글을 반복적으로 보도하며 부정적인 감정을 증폭시켰다.
클릭을 유도하기 위한 선정적인 제목들은 악순환을 생성하여 자극적인 콘텐츠가 바이럴되어 더 많은 악성 댓글을 유발하고 있다.
충원대학교 김헌식 사회문화학 교수는 "일부 온라인 악성 댓글 작성자는 자신의 댓글이 언론에 보도될 때 그로 인해 정당성을 느끼며 계속 댓글을 달고 있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민주언론시민연합'은 화요일 김새론 사건에서 언론의 역할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김을 향한 대중의 적개심을 부추긴 언론들이 이제는 유튜버와 익명 댓글 작성자들을 비난하고 있다. 미디어에 의해 인간성 말살의 악순환이 더 이상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김의 죽음은 단순한 사건이 아니다. 2019년 K-팝 스타인 설리와 구하라가 끊임없는 온라인 괴롭힘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설리는 솔직한 소셜 미디어 게시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고, '설린업'이라는 표현이 그녀의 게시물을 겨냥한 온라인 용어가 되었다. 구하라 역시 침해적인 언론 보도로 큰 압박을 받았다.
그들의 죽음 이후, 국회에서는 온라인 댓글 작성자에 대한 실명 인증을 도입하기 위한 '설리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법안은 국회에서 결국 부결되었다.
악성 댓글 유포를 저지하기 위한 전기통신법의 유사한 제안도 국회 회기가 끝나면서 보류되었다.
2023년 마약 사용 혐의로 수사 중이던 배우 이선균의 사망 사건은 언론이 어떻게 공적 scrutiny를 촉발하는지 다시 한 번 드러내 주었다.
한국의 국영 방송사 KBS는 수사와 무관한 배우의 개인 대화 내용을 방송하여 큰 비판을 받았다.
“만약 이러한 침해적인 보도가 타블로이드 매체에 국한되었다면 덜 파괴적이었을 수도 있다”고 세명대학교 저널리즘 교수인 심석태는 말했다. “하지만 주요 방송사조차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인격 말살 보도를 하게 된다면 그 결과는 심각해진다.”
고(故) 배우 이선균은 2023년 12월 27일 세상을 떠났다.
전문가들은 사회의 태도가 변화해야 공인의 괴롭힘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연예인들이 실수를 할 때마다 공개적으로 곤욕을 치러야 한다고 믿는 것 같다. 마치 그것이 유명세의 대가인 것처럼 보인다”고 김 교수는 말했다. “미디어가 이러한 패턴을 클릭과 조회수만을 위해 지속한다면 더 많은 비극이 뒤따를 것이다.”
문화 비평가 황진미는 김새론에 대한 대우가 성별로 인해 특히 가혹했다고 지적했다. “김이 음주 운전을 감행했을 때 언론의 보도는 거의 포식자적이었다. 비슷한 범죄를 저지른 남배우들은 같은 자세한 취급을 받지 않았다”고 황은 말했다.
2020년 네이버와 다음 같은 주요 포털사이트들이 연예기사 댓글 기능을 비활성화했지만, 악성 댓글은 이제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온라인 커뮤니티로 옮겨져 여전히 방치되고 있다.
“김새론은 어린 시절부터 복잡하고 감정적으로 힘든 역할을 맡아 아동학대, 유괴, 전시 성폭력 피해자를 연기했다”고 문화 비평가 김성수는 밝혔다. “우리 사회는 그녀가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정신적 지원을 제공하지 못했다.
“김의 음주 운전 사건에 집착하기보다는, 미디어는 왜 이 전직 아역배우가 힘든 시기를 보내면서 지원을 받지 못했는지를 살펴보아야 했다”고 그는 덧붙였다.
“유사한 비극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예인을 악성 댓글과 피해를 주는 언론 보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김은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