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주영, '왕관을 쓴 여왕'에서 역사적 아이콘으로 변신 / Cha Joo-young Embodies Historical Figure in The Queen Who Crowns


After leaving a strong impression with her portrayal of antagonist Hye-jeong in "The Glory," actor Cha Joo-young has transitioned to a leading role in the historical drama "The Queen Who Crowns." This marks her debut in a period drama, where she takes on the iconic character of Queen Wongyeong, redefining her acting career.

The drama is set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focusing on Queen Wongyeong's untold story and her pivotal role in the rise of her husband, Yi Bang-won, who became King Taejong of Joseon. Unlike many historical dramas that center on King Taejong, this series offers a unique perspective by exploring the queen's experiences and her complex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within the royal court.

Cha's performance has been praised for its versatility, as she embodies the queen's life throughout the 12-episode series. She acknowledged the immense pressure of portraying a real historical figure, noting the lack of records about queens like Wongyeong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Cha emphasized the need to fill in the gaps with her own emotions and acting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sentiment of the story.

Despite the challenges, Cha expressed that starring in a historical drama had long been her dream, and playing Queen Wongyeong fulfilled that aspiration. She felt a strong determination to take on the role,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depicting a historically important person.

The drama, although not featuring big-name stars, garnered attention and achieved a peak viewership rating of 6.6 percent for its final episode, up from 4.9 percent for its premiere. This success was attributed to the efforts of experienced actors and a fresh narrative approach.

One controversial aspect of the series was the simultaneous release of two versions: a toned-down version on cable and a 19+ rated version on an OTT platform. The inclusion of sexually suggestive scenes and computer-generated imagery drew criticism, particularly regarding the editing process, which reportedly occurred without the actors' consent.

Cha expressed disappointment that public attention focused primarily on the intimate scenes rather than the broader narrative. Sh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ortraying the private life of a royal couple as a crucial element of the story, approaching the role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ensure a respectful and accurate depiction.

The physical demands of the role were significant, requiring Cha to ride horses, wield swords, and dance. Despite the option for stand-ins, she preferred to perform her own action scenes, which led to physical therapy and treatment for injuries sustained during filming.

The elaborate period costumes also posed challenges, as she wore multiple layers of traditional Korean dress, with her royal crown and accessories weighing between 4-5 kilograms. Cha noted the difficulty of wearing these for nearly 20 hours a day, stating, "I quite literally had to bear the weight of the crown."

With another successful role under her belt, Cha remains eager for new challenges, describing herself as an adventurer unafraid to embrace diverse roles in her acting career.




강렬한 인상을 남긴 "더 글로리"의 악당 혜정 역할로 주목받은 차주영이 사극 "왕비가 되는 날"에 출연하며 변화를 꾀했다. 34세의 배우인 그녀는 사극에서 첫 주연을 맡았으며 새로운 아이콘 캐릭터로 연기 경력을 재정의했다.

이 드라마는 고려 말(918-1392)과 조선 초(1392-1910)를 배경으로 하며, 남편 이방원의 아내이자 조선 제3대 태종의 왕비인 왕건의 이야기를 다룬다. 왕태종을 주제로 한 많은 역사 드라마가 있었지만 이 시리즈는 여왕의 경험과 남편과의 복잡한 관계, 궁중 생활에 초점을 맞추며 독특한 시각을 제공한다.

차주영은 왕비로서 왕실 권력 구조 속에 얽힌 모습을 보여주며 12부작 시리즈 전체를 통해 그녀의 다양한 연기력을 발휘한 점이 찬사를 받았다. 그녀는 여왕의 전 생애를 완벽히 구현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차주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첫 주연을 맡는 것이 큰 압박감이 있었다고 인정했다. "진짜 사람에 대해 다루는 것이었기 때문에 정말 도전적이었다. 특히 이성계(조선의 건국자 태조)나 이방원(태종), 세종대왕과 비교했을 때, 왕비들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많지 않았다. 제가 부족한 부분을 만들어 내고 제 감정과 연기로 채워야 했다. 전체적인 감정과 스토리를 유지하면서 제 감정을 바탕으로 연기를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역사적 인물에 기반한 사극에 출연하는 것은 오랫동안 그녀의 꿈이었고, 왕비 역할을 맡는 것은 그 욕구를 이룬 것이라 밝혔다. "많은 결단력이 필요했지만,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의 삶을 다루는 프로젝트에 다시는 기회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기로 결심했다."라고 덧붙였다.

대중적인 스타가 없어도 이 드라마는 화제를 모았고, 마지막 회에서 6.6%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1월 6일 방영된 첫 회의 4.9%에 비해 증가했다. 경력 있는 배우들의 연기와 새로운 시선이 효과를 봤다.

가장 논란이 되었던 점은 두 가지 버전의 동시 방영으로, TVN에서는 절제된 버전이 방송되었고, OTT 플랫폼 Tving에서는 19세 이상 등급의 버전이 제공되었다. 지나치게 성적 암시가 있던 장면들이 과도한 컴퓨터 그래픽과 함께 편집되었으며, 배우의 동의 없이 이루어진 편집에 대하여 비판이 일었다.

차주는 많은 대중의 관심이 드라마의 이야기보다 초기 친밀한 장면에만 집중된 것에 실망감을 표했다. "왕실 부부의 사생활을 묘사하는 것이 이야기에 중요한 부분인 것으로 이해했다. 나는 그것을 사랑 이야기로 보았고 그 일에 참여하게 되어 흥분했다. 그러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그 역할에 접근했다. 왕실 부부의 묘사가 존중과 정확성을 갖추면서 인물에 충실하기를 원했다."고 말했다.

역할의 신체적인 요구도 상당했다. 그녀는 말을 타고, 검을 휘두르며, 사극에서 춤을 췄다. 대역 배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본인이 액션 장면을 직접하고 싶었다.

"그래서 촬영 중에 사소한 부상을 당해 물리 치료와 허리 디스크 치료를 받아야 했다."고 전했다.

화려한 사극 의상도 도전 과제가 되었다. 그녀는 전통 의상인 '한복'을 여러 겹 입어 완벽한 역사적 모습을 연출했으며, 왕관과 장신구는 4-5킬로그램의 무게를 지니고 있었다.

“거의 20시간 동안 착용해야 했다. 저는 정말로 왕관의 무게를 견뎌야 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성공을 거두었지만 차주는 여전히 모험심이 가득하며 다가오는 역할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싶어한다. "저는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자신을 모험가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고 여왕 왕건의 자신감과 함께 말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