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joint investigation team is conducting a safety inspection ahead of an on-site examination of the Air Busan plane fire that occurred at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n Busan on Tuesday. The fire is suspected to have been caused by a battery in a carry-on bag stowed in an overhead compartment.
In light of the incident, there are increasing calls for stricter regulations regarding the transportation of batteries on commercial flights. The government is reportedly reviewing new procedures to enhance the safety of battery transport for passengers.
The fire broke out while the plane was preparing for takeoff, leading to the safe evacuation of all 176 individuals on board, although seven passengers sustained minor injuries. Authorities are investigating the exact cause of the fire, with suspicions pointing to a battery stored in an overhead bin.
Batteries are classified as hazardous materials and are generally prohibited from checked luggage by most airlines, requiring passengers to carry them into the cabin. Lithium-ion batteries, commonly used in electronic devices, pose a risk of explosion if subjected to shock or heat.
Some airlines have begun making in-flight announcements urging passengers to keep batteries with them instead of stowing them in overhead bins. Since May 31 of the previous year, one airline has encouraged passengers to keep lighters and batteries with them, broadcasting this message shortly before takeoff. The airline involved in the recent incident has also stated that it makes similar announcements prior to departure.
Despite these efforts, many travelers remain unaware of the importance of this practice, often storing such items in overhead bins where luggage is typically placed. This has led to increased calls for stricter regulation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fire-risk items, including batteries.
A professor from a local university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standardized regulations across airlines, noting that the inconsistency in rules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aviation authorities to establish unified standards. He also suggested that passengers should be informed and encouraged to store electronic devices with lithium-ion batteries in seat-back storage pockets, as these devices are commonly used during flight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re have been 23 portable battery fires on airplanes in Korea over the past five years. Most of these incidents were contained quickly, although one fire aboard an Asiana Airlines flight last April took nearly five minutes to extinguish,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and swift action in response to heat generation.
Another professor emphasized that addressing aircraft accidents cannot be effectively managed by regulations from a single country. He recomme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notif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to encourag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update global standards.
Meanwhile, a joint investigation team, which includes members from various aviation and forensic agencies, will conduct an on-site inspection of the charred Air Busan plane. The team has already removed hazardous materials and completed 3D imaging of the site.
합동 조사팀이 금요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건의 현장 조사를 앞두고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리튬 배터리 화재에 대한 신속한 발견이 중요하다
화요일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건은 기내 수하물 보관함에 보관된 휴대용 가방 속 배터리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어, 상업 비행에서 배터리 운송에 대한 stricter regulations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승객들이 배터리를 보다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배터리 처리에 관한 새로운 절차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화재는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항공기가 이륙 준비 중 발생했으며, 탑승객 176명은 모두 안전하게 대피했지만, 7명은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조사 중이지만, 당국은 overhead bin에 보관된 배터리가 발화했을 수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있어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위탁 수하물로 반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승객이 기내에 직접 소지해야 한다.
일부 항공사들은 이미 기내 방송을 통해 승객들에게 배터리를 overhead bin 대신 본인 소지에 두도록 요청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5월 31일부터 승객들에게 라이터와 배터리를 소지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이륙 5분 전 방송하고 있다.
최근 화재 사건이 발생한 에어부산 역시 이륙 전에 두 차례 유사한 안내 방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부분의 항공사가 기내 방송을 통해 승객들에게만 알리기 때문에 많은 여행객들이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승객들은 이러한 물품을 일반적으로 짐을 넣는 overhead bin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포함한 화재 위험 품목의 관리에 대한 stricter regulations이 요구되고 있다.
신라대학교 항공과학 및 비행운항 학부의 김광일 교수는 항공사 간 표준화된 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각 항공사가 자체 규정을 가지고 있지만, 일관성의 부족은 항공 당국이 통합된 기준을 수립해야 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승객들이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된 전자기기를 좌석 뒷면 수납공간에 보관하도록 충분히 안내받고 격려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기기는 비행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므로, 이러한 규정을 시행하는 것이 승객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천국제공항 출발 구역에 리튬 배터리의 휴대 수량에 대한 안내가 표시되어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한국의 항공기에서 발생한 휴대용 배터리 화재는 23건이다.
대부분의 화재는 20초에서 3분 이내에 신속하게 진화되었지만, 지난해 4월 아시아나항공 비행기에서 발생한 화재는 소화하는 데 거의 5분이 걸렸다.
이는 발열에 대한 조기 발견과 신속한 대응이 배터리와 관련된 사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교통대학교 항공과학 및 비행운항 학부의 이건영 교수는 항공사고는 한 국가의 규제로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규정을 검토한 후 한국 정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통보하여 국제 사회가 글로벌 기준을 업데이트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 민간 항공 안전 조사 기구,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경찰 법의학 전문가 및 소방서로 구성된 합동 조사팀은 월요일에 불에 탄 에어부산 항공기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합동 조사팀은 위험 물질을 제거하고 비상 산소통의 연결을 끊는 작업을 완료했으며, 현장의 3D 이미징을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