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라마, 16편 형식 감소로 짧은 시즌으로 전환 / K-Dramas Transition to Shorter Seasons as 16-Episode Format Declines


Recent trends in K-drama production indicate a significant shift from the traditional 16-episode format to shorter seasons of 12 or even 10 episodes, driven by audience demand for faster-paced storytelling.

Series such as “Motel California,” “Love Scout,” and “The Queen Who Crowns” exemplify this new structure,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the evolving consumption habits of viewers on streaming platforms.

Historically, K-dramas began with 24 episodes, eventually reducing to 20 and then stabilizing at 16 for many years. However, the recent trend shows a further reduction, with many dramas now airing only 12 episodes. Disney+'s “Unmasked” and the upcoming “The Potato Lab” are notable examples of this format. KBS has also announced a new romance-themed series, “Drama Special,” that will adhere to the 12-episode structure. Some productions, like “Good Girl Boo Semi,” have opted for even shorter seasons, consisting of just 10 episodes.

Other recent titles, including Channel A’s “The Witch,” Tving’s “Study Group,” and Netflix’s “Melo Movie,” have adopted the 10-episode model. Netflix’s “The Trauma Code,” which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originally planned for 10 episodes, was restructured into eight 45-minute episodes to enhance pacing and deliver a more engaging narrative.

The rise of streaming platforms has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shorter seasons, as viewers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12-episode format, often finding longer series excessive. This demand for quicker storytelling has also led to the rise of short-form content, including web dramas on social media.

A key advantage of 12-episode dramas is their ability to maintain high engagement levels, minimizing filler episodes and providing a more immersive experience. Even series with only eight episodes have made a lasting impact, as viewers increasingly prefer shorter formats to avoid slow pacing and unnecessary repetition.

However, the trend toward shorter seasons presents challenges for production companies, which may face revenue losses due to fewer episodes, and for broadcasters, who may struggle with reduced ad revenue as popular shows conclude more quickly. This necessitates more frequent programming replacements, complicating scheduling. While extending seasons is an option, there is no guarantee of replicating the initial success.

Ultimately, the shift toward shorter seasons highlights the competitive nature of the K-drama industry, where only high-quality content is likely to stand out and succeed.




“스터디 그룹”, “멜로 영화”, “마녀” 포스터 / 제공: 채널A, 티빙, 넷플릭스

빠른 전개를 선호하는 관객이 트렌드를 주도

전통적인 16부작 K-드라마 형식이 점차 12부작 또는 10부작 시즌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는 짧은 서사가 요구되는 관객의 수요를 반영하고 있다.

최근 방영된 “모텔 캘리포니아”, “러브 스카우트”, “왕의 관을 씌우는 여왕” 등은 모두 12부작 구조를 따르고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시청자가 드라마를 소비하는 방식이 진화하면서 이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전에는 드라마가 24부작으로 시작된 후 20부로 줄어들고, 결국 수년간 16부로 정착하였으나, 최근 많은 드라마는 12부작만으로 방영되고 있다. 디즈니+의 “언마스크드”와 다가오는 “감자 연구소”는 모두 12부작 시리즈이다. KBS는 최근 새로운 로맨스 테마의 “드라마 스페셜”이 같은 형식을 따를 것이라고 발표했다. “굿걸 부세미”와 같은 일부 시리즈는 10부작으로 더욱 단축되기도 하였다.

채널A의 “마녀”, 티빙의 “스터디 그룹”, 넷플릭스의 “멜로 영화”와 같은 최근 제작물도 10부작 모델을 채택하였다.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은 넷플릭스의 “트라우마 코드”는 단 8부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60분짜리 1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속도를 높이기 위해 45분짜리 8부작으로 재구성되었다. 이 조정 덕분에 “트라우마 코드”는 현대적 시청 습관에 적합한 강렬하고 몰입감 있는 서사를 전달할 수 있었다.

스트리밍 플랫폼의 상승과 시즌 형식의 보편화도 이러한 변화에 기여하였다. 시청자들은 12부작 구조에 익숙해져 길어진 형식이 과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빠른 서사의 수요는 소셜 미디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웹 드라마와 같은 짧은 형식의 콘텐츠의 인기도 높여주었다.

12부작 드라마의 주요 장점은 높은 참여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짜임새 있는 서사는 불필요한 채우기 에피소드가 줄어들고 보다 몰입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비록 단 8부작이라는 OTT 오리지널 시리즈도 지속적인 인상을 남겼다. 느린 전개와 불필요한 반복을 경계하는 시청자들은 점점 더 짧은 드라마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짧은 시즌으로의 추세는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제작사들은 에피소드 수가 줄어들어 수익 손실을 겪고, 방송사들은 인기 프로그램이 빠르게 종료됨에 따라 광고 수익이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프로그래밍 슬롯을 채우는 것은 더 큰 도전이 되며, 짧은 시즌은 더 잦은 대체를 요구하게 된다. 시즌 연장이 옵션이지만, 두 번째 시즌이 첫 번째 시즌과 같은 성공을 거둘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궁극적으로 짧은 시즌으로의 이동은 오직 고품질 콘텐츠만이 두드러지고 성공하게 되는 경쟁 산업의 본질을 강화한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