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바이오기업,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경각심 고조 / Korean Biotechs Brace for Potential Tariffs from Trump Administration


U.S. President Donald Trump threatened to impose tariffs of around 25 percent on pharmaceutical imports during a press conference at his Mar-a-Lago resort in Palm Beach, Florida, raising concerns among Korean biopharmaceutical firms.

Korean biotechs had been optimistic about their U.S. business prospects during Trump's second presidency, given his previous efforts to lower drug prices. However, the potential inclusion of pharmaceuticals in his trade war has prompted these firms to develop countermeasures, while expressing concerns that such tariffs could lead to increased drug costs for American consumers.

Under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Korea exports pharmaceutical drugs to the U.S. duty-free. The U.S. is the world's largest pharmaceutical market, having imported $1.5 billion worth of drugs from Korea last year, which accounted for 16 percent of Korea’s total pharmaceutical exports.

An official from a Korean biotech stated, “The top priority for now is closely monitoring whether the tariff will actually be imposed, what will be the target and how other details will be set.” They emphasized that pharmaceutical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industrial goods and have often been exempt from tariffs in international trade due to their critical nature for human health.

On Tuesday, Trump suggested the potential tariff but did not provide further details. In response to the uncertainty, biosimilar maker Celltrion published a letter for investors outlining their countermeasures. The company indicated that it had secured enough inventory in the U.S. to meet demand for at least nine months without needing additional imports.

Celltrion also noted that it had been manufacturing finished drug products through local contract manufacturing partners prior to the tariff risks and highlighted that its primary business involves exporting drug substances, which carry a significantly lower tax burden than finished products.

Celltrion’s North American sales accounted for 28.74 percent of its total global sales of 810 billion won in the third quarter of last year, with sales in the first three quarters of 2024 already surpassing the entire sales of 2023.

Samsung Bioepis, another company developing biosimilar products for the U.S. market, expressed concern about the potential tariffs. An official stated that the company is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and exploring various countermeasures.

Biosimilar companies, including Celltrion and Samsung Bioepis, hope their products may be exempt from the tariffs, as the first Trump administration aimed to lower drug costs by increasing competition. If biosimilar drugs are subjected to tariffs like branded drugs, it could undermine efforts to reduce drug prices through competition.

The tariff threat presents a complex situation for contract manufacturer Samsung Biologics as well. An official indicated the company would monitor developments closely while exploring countermeasures. Initially, Korean 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s (CDMOs) were expected to be less affected, as their clients typically absorb costs related to drug substance production and tariffs.

However, with the proposed 25 percent tariff, Korean CDMOs may lose cost-competitiveness compared to U.S. rivals, potentially leading global pharmaceutical firms to choose U.S.-based CDMOs instead. There are rumors that Samsung Biologics may consider establishing a plant in the U.S. to mitigate tariff-related risks.

A Samsung Biologics official stated that the feasibility of a U.S. plant is still under review, but it is too early to provide further comments on the matter.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화요일 플로리다 팜비치 소재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제약 수입에 대해 약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며 한국 바이오 제약 회사들 사이에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 동안 약가 인하를 위한 노력을 감안할 때, 한국 바이오 기업들은 그의 두 번째 대통령 임기에 미국에서의 사업에 대해 낙관적이었다. 그러나 현재 트럼프 대통령이 제약 산업을 무역 전쟁의 또 다른 전선으로 보고 있어, 한국 바이오 기업들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이 미국 소비자의 약가를 올릴 수 있다는 신중한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한-K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한국은 미국에 제약 제품을 무관세로 수출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제약 시장인 미국은 지난해 한국으로부터 15억 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수입했으며, 미국행 선적은 한국 총 제약 수출의 16%를 차지하였다.

한국 바이오 기업의 한 관계자는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것인지, 어떤 대상이 될 것인지 및 기타 세부 사항이 어떻게 설정될 것인지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무역에서 제약 제품은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산업 제품과 본질적으로 다르며 종종 관세에서 면제되어 왔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이는 미국 내 약가에 기정 영향을 줄 것이며, 이로 인해 미국 시민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화요일(현지 시간) 제약 수입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제공하지 않았다.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바이오시밀러 제조업체 셀트리온은 수요일 투자자들에게 미국의 관세 가능성에 대한 기업들의 대책을 담은 편지를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고 전하면서도, 올해 최소 9개월분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충분한 재고를 미국 내에서 확보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미 관세 리스크가 발생하기 전부터 현지 계약 제조 파트너를 통해 완제 의약품을 생산해왔으며, 주요 사업이 완제 의약품에 비해 세금 부담이 현저히 낮은 원료 의약품 수출이라고 덧붙였다.

셀트리온의 북미 시장 매출은 지난해 3분기 전체 글로벌 매출 8100억 원의 28.74%를 차지했다. 2024년의 북미 매출은 2023년 전체 매출을 초과했다.

인천의 삼성바이오에피스 실험실에서 연구원이 약품 원료를 테스트하는 사진이 제공됐다.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는 삼성바이오에피스도 가능한 관세의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한 관계자는 “현재까지 가능한 25% 관세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알려진 바가 없다며 상황의 진행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하면서, 여러 가지 대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포함한 바이오시밀러 회사들은 제품이 관세에서 면제될 수도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첫 번째 트럼프 행정부는 화학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간의 경쟁을 활성화하여 약가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했기 때문이다. 만약 바이오시밀러 의약품도 비싼 브랜드 의약품과 같은 관세의 대상이 된다면, 이는 경쟁을 통한 약가 인하 노력을 저해하여 평균 약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관세 위협은 계약 제조업체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도 복잡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한 관계자는 “회사는 가시적인 업데이트가 있을 때까지 상황의 진행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며, 업계 관계자들은 계약 제조사들이 관세와 관련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의 계약 개발 및 제조 조직(CDMO)들은 고객이 의약품 원료 및 기타 추가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관세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트럼프가 25%의 관세를 제안하면서 한국 CDMO는 미국 경쟁사 대비 비용 경쟁력을 잃을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미국 내 CDMO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국에 공장을 설립할 것이라는 루머도 돌고 있다. 이는 회사가 관세로 인한 일부 리스크를 헤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한 관계자는 “회사는 미국 공장의 가능성을 검토 중이지만 그 이상에 대해서는 논의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