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강업체, 트럼프 관세에 대한 우려 표명 / Korean Steelmakers Concerned About Tariffs Imposed by Trump


Steel products are piled at the Port of Pyeongtaek in Gyeonggi Province, Monday.

Concerns are rising among Korean steelmakers following U.S. President Donald Trump's announcement of an additional 25 percent tariffs on all steel and aluminum imports into the United States. This declaration has led to uncertainty regarding the export of steel plates and pipes from Korea to the U.S., resulting in a significant drop in share prices for POSCO, Hyundai Steel, and Dongkuk Steel at the start of Monday's trading session.

In response to the tariff plan, the Korean government convened meetings to discuss potential countermeasures. Trump indicated on Air Force One that he would announce new metal tariffs, marking the first time his administration has specified sectors for universal tariffs.

During his remarks, Trump expressed confidence in U.S. Steel, highlighting a recent investment by Japan's Nippon Steel, but did not clarify whether there would be changes to the existing tariff-free import quotas.

In 2018, during Trump's first term, Korea was allocated a tariff-free steel export quota of up to 2.63 million tons, representing 70 percent of the annual average of Korean steel exports to the U.S. from 2015 to 2017. Each year, Korean steelmakers have negotiated their respective shares within this quota for exports to the U.S.

An official from a major Korean steelmaker indicated that Trump might apply a zero-base principle to import quotas, potentially requiring increased contributions to the U.S. economy in exchange for maintaining the tariff-free quota.

Earlier this month, the White House noted Hyundai Steel's consideration of establishing a plant in the U.S. as a factor in the necessity of the tariffs. However, Hyundai Steel has stated that no decisions have been made regarding this matter.

As the domestic steel industry awaits further details on the U.S. tariffs, officials are urging the government to resist unreasonable demands from Washington.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Korean steel products to the U.S. energy supply chain, warning of potential inflationary impacts from the tariffs.

On Monday, the finance ministry reported that acting President Choi Sang-mok discussed responses to the tariffs with foreign and trade ministers. An emergency meeting was also held at the Korea Iron & Steel Association to address the situation.

Deputy Trade Minister Park Jong-won stated that the government will leverage all available networks, including diplomatic missions in the U.S., to gather more information and minimize impacts on Korean companies.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이 보인다.

미국의 수입 쿼터 재협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월요일에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였고, 이는 한국 철강업계에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다.

트럼프의 발언이 있은 후 미국으로의 철강판 및 파이프 수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자, 투자자들은 월요일 거래 시작과 함께 POSCO, 현대제철, 동국제강의 주식을 매도했다.

같은 날, 한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계획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소집했다.

트럼프는 일요일(현지 시간) 에어포스 원에서 기자들에게 다음날 새로운 금속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이는 그의 두 번째 임기 중 처음으로 보편적 관세 대상 특정 산업이 언급된 사례이다.

그는 미국 철강업체에 대한 일본의 닛폰 스틸 투자 허용 결정에 대해 "관세는 다시 아주 성공적으로 만들 것이며, 좋은 관리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날 트럼프는 관세 면제 수입 쿼터에 대한 변화가 있을지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트럼프의 첫 번째 임기 동안 한국은 2.63백만 톤의 관세 면제 철강 수출 쿼터를 받아들였다. 이는 2018년에 모든 철강 수입에 대해 25% 관세, 모든 알루미늄 수입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며 시행되었다.

이 수치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미국 철강 수출 연평균의 70%에 해당한다.

이후 한국 철강업체들은 매년 서로의 배정량을 결정하기 위해 협상해야 했다.

한국의 한 주요 철강업체 관계자는 "트럼프가 북미 자유무역협정에도 불구하고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을 한 점을 고려하면, 그는 수입 쿼터에 대해 제로베이스 원칙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달 초 언론에 현대제철이 미국 공장 건설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을 트럼프의 관세가 "필요한 해결책"이라는 이유 중 하나로 언급했다.

하지만 현대제철은 이 문제와 관련하여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재확인했다.

현대제철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에 대한 추가 세부사항을 기다리는 국내 철강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에 워싱턴에서 "불합리한" 요구를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들은 정부에 철강 관세로 인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강조하고, 한국 철강 제품의 미국 에너지 공급망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무부는 월요일 최상목 권한대행이 외교 및 통상 장관들과 트럼프의 25%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발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무역부는 한국철강협회에서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

박종원 무역부 차관은 "정부는 더 많은 세부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미국의 외교 미션을 포함한 모든 가능한 네트워크를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산업과 밀접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