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가 올해 상장할 것인가? / Musinsa's Potential Public Offering in 2023


Korea’s largest fashion shopping platform operator, Musinsa, is focusing on enhancing its corporate value through expansions into various Asian markets and forming new partnerships aimed at innovating its platform. This has led to speculation regarding a potential initial public offering (IPO) in the near future.

On Friday, Musinsa announced the signing of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a Seoul-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dvertising technology firm, Moloco. This partnership aims to improve Musinsa's platform by introducing advanced AI technology for analyzing customer shopping behaviors and deliver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Musinsa currently offers products from over 8,000 fashion brands, primarily small to medium-sized enterprises, and has a membership base exceeding 15 million customers. The MOU with Moloco is expected to enhance the company's service quality further.

Additionally, Musinsa successfully launched a pop-up store in Osaka for Matin Kim, a Korean fashion brand that Musinsa has agreed to distribute exclusively in Japan. The event, held at Hankyu Department Store from January 22 to 28, attracted 9,000 visitors and generated over 600 million won (approximately $410,000) in sales, showcasing strong customer interest.

The Japanese market is a significant focus for Musinsa in 2024, with plans to open its first offline store in Tokyo with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 company official stated that establishing Matin Kim in Japan is a priority, followed by efforts to expand the market for Korean designer brands.

Musinsa has also welcomed Anta Sports, a leading Chinese sportswear brand, as a shareholder, as the Chinese company acquired a 1.7 percent stake for around 50 billion won. Given Anta's $8.6 billion sales in 2023, industry experts speculate that this partnership may facilitate Musinsa's entry into the Chinese market.

These recent developments suggest that Musinsa is positioning itself to increase its valuation before a potential IPO. After securing a 140 billion won investment from a U.S. venture capital firm in 2019, the company committed to going public within five years, with the deadline having passed in December 2023. Musinsa is currently valued at approximately 3 trillion won and reported sales exceeding 993 billion won, indicating a strong market position.

An organizational reshuffle earlier this month, including the appointment of industry veterans, signals a potential push for an IPO in the near future. Market experts believe that the IPO process may accelerate following the public disclosure of Musinsa's 2024 performance in the first quarter.




일본 오사카 한큐 백화점에서 열린 마틴 킴 팝업 스토어가 1월 22일부터 28일까지 운영되는 동안 고객들로 붐볐다.

패션 플랫폼, 아시아 시장 확장 및 AI 도입

한국 최대의 패션 쇼핑 플랫폼 운영업체인 무신사는 다양한 아시아 시장으로의 확장을 통해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플랫폼 혁신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기업 공개(IPO)를 추진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무신사는 금요일 서울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AI) 기반 광고 기술 회사인 몰로코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무신사는 고객을 위한 AI 기반 추천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현재 무신사는 전 세계 8,000개 이상의 패션 브랜드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로 중소기업의 제품이 포함되어 있다. 이 회사는 1,500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MOU는 개인의 쇼핑 행동을 보다 잘 분석하고 더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기 위한 첨단 기술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신사는 또한 지난 11월부터 일본에서 독점적으로 유통하기로 합의한 한국 패션 브랜드 마틴 킴의 팝업 스토어를 오사카에서 열었다. 한큐 백화점에서 열린 일주일간의 이벤트는 화요일에 종료되었으며,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전했다. 팝업 스토어는 9,000명의 방문객을 기록했으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6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일본은 올해 무신사의 시장 확장의 주요 초점이다. 회사 관계자는 금요일 팝업 이벤트가 올해 상반기 도쿄에 첫 오프라인 무신사 매장을 열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무신사 관계자는 "우선 마틴 킴이 일본에 정착하는 것을 보고, 이후 한국의 디자이너 브랜드의 일본 시장 확장에 집중하고 싶다"고 말했다.

무신사가 시장 확장과 경쟁력을 강화함에 따라, 중국의 주요 스포츠웨어 브랜드인 안타스포츠를 주주로迎했다. 이달 초, 중국 회사는 약 500억 원에 해당하는 1.7%의 지분을 무신사에서 인수했다.

안타스포츠는 2023년 86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나이키, 아디다스, 퓨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스포츠웨어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안타의 강력한 존재감으로 인해, 업계 전문가들은 무신사가 중국 시장 진입을 위해 안타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맺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무신사의 최근 움직임은 기업 공개를 앞두고 가치를 확대하려는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무신사는 2019년 미국 벤처 캐피탈 회사인 세쿼이아 캐피탈로부터 1,400억 원의 투자를 받은 후 5년 이내에 상장하겠다고 약속하였다. 5년 기간이 지난해 12월 말 종료됨에 따라, 무신사가 곧 IPO에 나설 것이라는 추측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약 3조 원으로 평가받고 있는 무신사는 2023년에 9,93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총 거래 규모는 4조 원을 초과했다. 회사의 지난해 매출이 1조 원을 넘은 것으로 보이며, 향후 가치를 더욱 높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무신사는 이달 초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기업 공개를 위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최근에는 뉴발란스의 국내 성공을 이끈 이랜드 그룹의 지주회사인 이랜드 월드의 이전 CEO인 최운식을 새로운 인사로 영입했다. 10월에는 한국의 주요 음식 배달 플랫폼인 요기요의 전 CEO인 전준희가 무신사의 기술 부문 책임자로 합류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무신사의 2024년 실적이 첫 분기에 공개되면 IPO 과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