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s Shaheen project is poised to significantly impact the domestic petrochemical industry, which is currently facing challenges due to declining global demand, extensive capacity expansions in China, and ongoing regional oversupply.
With a total investment of 9.25 trillion won ($6.41 billion), the project is approximately 55 percent complete and is expected to be finished in the first half of 2026. Upon completion, the facility will annually produce 1.8 million tons of ethylene, 770,000 tons of propylene, 200,000 tons of butadiene, and 280,000 tons of benzene.
S-Oil intends to transport these chemicals from the Shaheen project via a dedicated pipeline to local downstream businesses. Long-term supply contracts with petrochemical companies in the On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 Ulsan are already being established, which will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petrochemical value chain.
The Shaheen project is anticipat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downstream petrochemical sector, encouraging capacity expansions and delivering positive economic effects.
An official from S-Oil noted that downstream businesses would benefit from reduced transportation costs within the value chain, thanks to the timely and stable supply of feedstock, ultimately fostering a competitive petrochemical industry cluster.
In the long run, this initiative is expected to benefit the local economy and enhance nat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project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a thermal crude-to-chemicals (TC2C) facility to convert crude oil directly into petrochemical feedstock, alongside a steam cracker for ethylene production and storage tanks at the Ulsan Complex.
Shaheen is set to leverage advanced technologies, including TC2C, which will be introduced commercially for the first time. This process significantly improves petrochemical feedstock production and reduces carbon intensity, achieving three to four times higher feedstock yield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and is developed with technology from a major partner.
Energy efficiency is a critical aspect of the project, which aims to reach top-percentile energy intensity within the industry, thereby lowering carbon emissions. Plans include the construction of a 150-megawatt natural gas turbine generation plant to enhance internal energy efficiency and flexibility while reducing costs. Additionally, waste heat recovery boilers will utilize high-temperature exhaust gases to produce steam, further decreasing carbon emissions.
S-Oil의 샤힌 프로젝트는 세계적인 수요 감소, 중국의 대규모 생산능력 확대, 지속적인 지역 공급 과잉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총 9.25조 원(64억 1천만 달러)의 투자 규모를 가진 이 프로젝트는 55% 완료되었으며, 2026년 상반기 내에 완공될 예정이다. 하반기에 가동되면 연간 에틸렌 180만 톤, 프로필렌 77만 톤, 부타디엔 20만 톤, 벤젠 28만 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S-Oil은 샤힌의 비용 경쟁력과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시설에서 생산된 화학 물질들을 전용 파이프라인을 통해 지역 하류 기업에 공급할 계획이다. 울산 동구 온산 국가 산업단지 내 석유화학 회사들과의 장기 공급 계약이 이미 진행 중으로, 국내 석유화학 가치 사슬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샤힌 프로젝트는 한국의 하류 석유화학 부문의 경쟁력을 개선하고, 생산 능력 확대를 촉진하며 긍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생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 S-Oil 관계자는 "하류 기업들은 원료의 적시 공급을 통해 가치 사슬 내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경쟁력 있는 석유화학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와 국가 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프로젝트에는 원유를 직접 석유화학 원료로 전환하는 열간 원유-화학(TC2C) 시설과 에틸렌 생산을 위한 스팀 크래커, 그리고 S-Oil의 울산 복합단지 내 저장 탱크가 포함된다.
샤힌 프로젝트는 TC2C와 같은 혁신적 기술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최초로 상용화될 예정이다. 이 프로세스는 석유화학 원료 생산을 향상시키고 탄소 집약도를 줄인다. 아람코의 기술로 개발된 TC2C는 기존 방법보다 3~4배 높은 원료 생산성을 달성한다.
에너지 효율성 또한 중요한 초점이다. 이 프로젝트는 업계에서 최상위 에너지 집약도를 달성하여 탄소 배출을 줄일 예정이다. S-Oil은 내부 에너지 효율성과 유연성을 개선하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150메가와트 규모의 천연가스 터빈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폐열 회수 보일러는 고온 배기가스를 활용하여 증기를 생산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