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온,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 강화 / SK On Enhances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Next-Generation Batteries


SK On is intensifying its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for next-generation batteries, with the construction of a pilot plant for all-solid-state batteries (ASSBs) underway near its R&D center in Daejeon. The plant i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ASSB technology, which utilizes solid electrolytes instead of liquid ones, is anticipated to significantly improve safety and energy density compared to traditional lithium-ion batteries. SK On plans to develop two types of ASSBs: polymer-oxide composite and sulfide-based, with commercial prototypes projected for 2027 and 2029, respectively.

An official from SK On emphasized the company's commitment to advancing R&D and forming strategic partnerships to enhance its competitiveness in the battery sector. The company has also showcased its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in ASSB technology.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SK On has investigated ultrafast photonic sinter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olid electrolytes. This study was recognized as a cover article in ACS Energy Letters, a prominent journal in the energy and chemistry fields.

Additionally, a collaboration with Seoul National University focused on lithium- and manganese-rich layered oxide (LMRO) cathodes for ASSBs was featured on the cover of Advanced Energy Materials.

Last year, SK On entered into an agreement with Solid Power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ASSBs and secure sulfide-solid electrolytes from the Colorado-based solid-state battery technology developer. The company’s CEO has reiterated the importance of investing in talent and research.

In a separate development, SK On has completed a merger with SK Enterm, finalizing a three-way consolidation that also included SK Trading International. This merger is expected to create synergies and promote sustainable growth as a global battery and trading entity.

The newly merged entity will continue to operate under the name SK On. The merger plan was announced in July 2024, and the integration with SK Trading International was completed in November. Following this merger, SK Enterm will now operate as part of SK Trading International.

Through this consolidation, SK On aims to strengthen its core competencies in the battery industry by enhancing raw material sourcing and financial stability. The integration is expected to broaden business models and improve profitability through optimized storage asset utilization.

Financially, the merger is projected to significantly bolster SK On’s standing, with anticipated revenues increasing from 13 trillion won ($8.92 billion) to 62 trillion won and total assets rising from 33 trillion won to 40 trillion won by the end of 2023. Furthermore, SK On expects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500 billion won in EBITDA as a result of the merger.




SK On은 차세대 배터리의 연구개발(R&D)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SK 그룹의 배터리 제조 부문은 대전 연구개발 센터 근처에 위치한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 건설이 진행 중이며, 올해 하반기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 플랜트는 전고체 배터리(ASSB)의 연구개발을 발전시키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고체 전해질을 액체 전해질의 대안으로 사용하는 ASSB는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위험을 줄이며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더 큰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는 혁신 제품으로 여겨진다.

SK On은 폴리머-산화물 복합체와 황화물 기반의 두 가지 ASSB를 개발할 계획이며, 상용 시제품은 각각 2027년과 2029년까지 기대하고 있다.

SK On 관계자는 "기술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R&D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와 끊임없는 R&D 발전 추구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SK On은 ASSB에 대한 최근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한국세라믹기술원 연구팀과 협력하여 배터리 제조 과정의 발전을 위한 초고속 광학 소결 기술 활용을 연구했다.

올해 초, 에너지 및 화학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ACS 에너지 레터즈는 이 연구를 표지 기사로 선정하였다.

에너지 관련 연구를 다루는 또 다른 저널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스의 최근 표지에서는 서울대학교 연구팀과 협력하여 ASSB에서 리튬 및 망간이 풍부한 층상 산화물(LMRO) 양극의 잠재적 사용 가능성을 탐구한 내용이 발표되었다.

지난해 SK On은 ASSB 개발을 가속화하고 솔리드 파워로부터 황화물 고체 전해질을 공급받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SK On의 CEO가 지난달 고려대학교 학생들과의 만남에서 인재와 연구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SK On은 지난 토요일 SK 엔터프라이즈와의 합병을 완료하며 S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과 함께 삼각 통합을 이루었다. 이는 글로벌 배터리 및 거래 회사로서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 통합된 회사는 SK On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운영된다.

SK On은 2024년 7월 합병 계획을 발표하고 11월 S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과의 통합을 완료하였다. 이후 거래 부문은 SK 온 트레이딩 인터내셔널이라는 회사 내 시스템으로 운영되었다. 이번 합병을 통해 국내 최대 상업 탱크 터미널 운영사인 SK 엔터프라이즈는 SK 온 트레이딩 인터내셔널의 일부로 기능하게 된다.

이번 합병을 통해 SK On은 원자재 조달 및 재무 안정성을 개선하여 배터리 산업에서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거래 운영의 통합은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하고 저장 자산의 최적화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합병은 SK On의 재무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예정이다. 합병 이전에 SK On은 13조 원(약 89억 달러)의 매출과 33조 원의 총 자산을 보고하였다. 합병 이후, 이러한 수치는 62조 원과 40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 말 기준으로 전망된다. 또한, SK On은 통합을 통해 약 5000억 원의 EBITDA 증가를 예상하고 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