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celebration of its 80th anniversary,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SPO) has launched the "Conducting Fellowship," aimed at training the next generation of conductors. Out of 59 applicants, eight finalists have been selected for the program.
The selected conductors will receive direct instruction from SPO's music director, Jaap van Zweden, during a series of open rehearsals that will conclude on Thursday. The conductor who receives the most votes from orchestra members will lead the “Conducting Fellowship Concert” at Lotte Concert Hall on Friday.
During a press conference, van Zwed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nds-on experience in conducting, noting that working directly with an orchestra provides invaluable lessons that cannot be replicated in a private setting. He stated, “One of my biggest goals is that these young conductors can taste and have the experience of being with an orchestra."
Van Zweden also expressed his commitment to nurturing young talent, stating that his legacy will be defined by the future contributions of the conductors he helps develop. He added, “We need to give back to the new generation and tell them everything we know."
In a departure from traditional closed-door master classes, the fellowship utilizes an open competition format. Van Zweden believes that conducting should be a public endeavor, allowing conductors to be judged by the press and the audience in a real-world setting. He noted, “This combination of being together with the press, with an audience later on, and with the orchestra members can be a very hard and tough lesson but it is the best lesson.”
The finalists include a diverse group of aspiring conductors, such as Choi Jae-hyuck and Park Keun-tae, who have notable experience in various orchestras. Participants have lauded the opportunity to learn from van Zweden, with several emphasizing the supportive and rigorous environment fostered by the music director.
The competition culminates in a concert where the overall winner will also be appointed as the assistant conductor of the SPO.
서울시립교향악단(SPO)의 음악 감독인 야프 반 스웨덴이 수요일 서울 시내 SPO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지휘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서울에서 Podium을 놓고 8명의 지휘자가 경쟁
서울시립교향악단(SPO)은 8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다음 세대의 지휘자를 양성하기 위한 특별 프로그램인 "지휘 펠로우십"을 조직했다. 총 59명이 지원한 가운데 8명의 결선 진출자가 선정되었다.
선발된 지휘자들은 SPO의 음악 감독인 야프 반 스웨덴에게 직접 지휘 교육을 받을 기회를 갖게 된다. 목요일까지 이어지는 3일간의 공개 리허설을 마친 후, 오케스트라 구성원 중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이가 금요일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지휘 펠로우십 콘서트”에서 지휘할 기회를 얻는다.
음악 감독은 지휘자들이 오케스트라 앞에서 활동하며 경험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내 목표 중 하나는 젊은 지휘자들이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경험을 맛보고 느끼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는 것은 혼자 또는 피아니스트와 함께 있을 때 준비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경험이기 때문입니다.”라고 그는 수요일 기자회견에서 말했다.
그는 자신의 유산이 과거의 콘서트뿐만 아니라 자신이 양성한 다양한 젊은 지휘자들의 미래에 의해 정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는 (선임 지휘자들) 새로운 세대에 환원해야 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을 그들에게 전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미 오랫동안 이 자리에 있어온 작곡가들의 대사입니다. 젊은 지휘자들이 며칠 만에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저를 자랑스럽게 만듭니다.”라고 말했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지휘 펠로우십 콘서트" 포스터
이 공개 경연 형식에 대해 반 스웨덴은 지휘자들이 공개 환경에서 학습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지휘자들은 결코 밀폐된 공간에 있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은 항상 공개적으로 그리고 대중과 함께 하며, 대중이 그들을 평가합니다. 그것이 일반적인 삶의 방식입니다. 언론과 오케스트라 구성원이 그들을 평가할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이런 공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폐쇄된 마스터 클래스보다 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저는 그들에게 몇 가지를 가르치려고 하지만, 그들이 서로에게서 가장 많이 배웁니다. 누군가가 잘 하지 못했을 때 그것이 바로 쌓아두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언론, 관객, 그리고 오케스트라 구성원들과 함께하는 이 조합이 매우 힘든 수업이 될 수 있지만, 그것이 최고의 수업이 될 수 있습니다.”
결선 진출자에는 스위스 벨비어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의 전 펠로우 지휘자 최재혁, 이탈리아 귀도 칸텔리 국제 지휘상 수상자 송민규, 베를린 노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주 지휘자 박근태, 피에르 몽트 외 페스티벌의 보조 지휘자 해리스 한, 네덜란드 라디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전 보조 지휘자 김리라가 포함된다.
베를린에서 활동 중인 참여 지휘자 박은 "마에스트로가 우리에게 리허설 시간을 주셨고, 오케스트라가 내가 원하는 소리, 내가 원하는 음악이 100% 나올 때까지 함께 작업했습니다. 사실 이것은 이렇게 전문적인 오케스트라에서 하기 힘든 일인데, 음악 감독이 끝까지 파고들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작곡자가 오케스트라를 위해 의도한 의미를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것을 보여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미국 출신의 한은 반 스웨덴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기회가 엄청났다고 말했다.
“그는 매우 세밀한 지휘자이며, 우리 모두에게 스스로 더 많이 요구하게 만듭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최는 이 드문 지휘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높은 평가를 하며, "전 세계에 이런 프로그램은 많지 않습니다. 최고급 오케스트라에서 수업료 없이 배우는 것은 정말 기회입니다."라고 말했다.
최종 우승자는 SPO의 보조 지휘자로 임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