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의 거의 절반이 재판 중 외부 압력을 경험했다고 응답 / Nearly half of judges report experiencing external pressure during trials.


Nearly half of Korea's judges report experiencing external pressure while presiding over trials,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that examines judges' perceptions of outside interference. This survey highlights growing concerns regarding attacks on the judiciary, which have included online doxxing, harassment, and physical violence, notably recent incidents at the Seoul Western District Court.

As cases of public and political sensitivity increasingly come before the courts, there are rising calls for institutional measures to enhance the protection of judicial independence. In response to these concerns, the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has initiated the drafting of measures informed by the survey's findings.

The report, titled "Analysis of Unjust External Pressure on Judges and Protective Measures," reveals that 47.1 percent of judges surveyed indicated they had felt outside pressure while handling specific cases. The survey was commissioned by the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and conduc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from November 14 to 24 of the previous year.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판사들이 재판을 진행하는 동안 외부 압력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판사들이 외부 간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로, 사법부에 대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는 우려 속에서 나온 결과입니다. 온라인 폭로와 괴롭힘, 그리고 최근 서울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신체적 폭력 사건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공적 및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건들이 법원의 손에 들어가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사법 독립성을 보다 잘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조치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법원 행정처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 조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한국일보에 의해 입수된 '판사에 대한 부당한 외부 압력 분석 및 보호 조치'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응답한 판사 중 47.1%가 특정 사건을 처리하면서 외부 압력을 느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대법원 행정처에 의해 의뢰되어 지난해 11월 14일부터 24일까지 서울대학교 연구사업단에 의해 실시되었습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