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중국 선박 항만 요금 인상이 한국에 긍정적 영향 예상 / U.S. Port Fees on Chinese Ships Expected to Favor South Korea


Korean shipping companies and shipbuilders are poised to benefit from the recent decision by the U.S. Trade Representative to impose new port fees on ships constructed or operated by Chinese firms.

Analysts point out that the minimal presence of Chinese-built vessels in the fleet of Korea’s largest container carrier, HMM, suggests that more freight owners may choose this carrier for shipments to the United States. "'Chinese-built vessels account for only 6 percent of HMM's entire container fleet — the lowest among global shipping companies,'" stated an analyst.

HMM has not placed any orders with Chinese shipyards, indicating that it is unlikely to be adversely affected by the ongoing tens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Out of HMM's 83 container ships, only five were built in China, and among these, two are rented and will be returned soon, while the remaining three primarily serve Southeast Asian routes.

"HMM is expected to gain the upper hand over competitors in securing cargo volume, as it is free from U.S. regulations on Chinese-built ships," observed another analyst, indicating a strong outlook for the company amidst the new trade policies.

Korean shipbuilders are also expected to benefit from this development, potentially increasing their market share in the wake of the U.S. restrictions on Chinese shipping vessels.




한국의 해운사와 조선사들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최근 결정으로 인해 잠재적인 수혜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중국 기업이 건조하거나 운영하는 선박에 새로운 항만 요금을 부과하기로 한 결정이다.

HMM의 선대에서 중국산 선박의 비중이 낮다는 점을 언급하며, 분석가들은 더 많은 화주들이 미국으로 화물을 운송할 때 한국의 최대 컨테이너 운송사인 HMM을 선호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하나증권의 안도현 애널리스트는 "중국산 선박은 HMM 전체 컨테이너 선대의 6%에 불과하며, 이는 글로벌 해운사 중 가장 낮은 수치"라고 말했다. "HMM은 중국 조선소에 주문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중 간의 긴장 상황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고 덧붙였다.

HMM의 83척의 컨테이너 선박 중 5척이 중국에서 건조되었으며, 이 중 2척은 임대 중으로 곧 반환될 예정이고, 나머지 3척은 주로 동남아시아 노선에 사용된다. 메리츠증권의 오정하 애널리스트는 "HMM은 중국산 선박에 대한 미국 규제에서 자유로워 화물 물량 확보에서 경쟁자들보다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국 조선사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Previous Post Next Post